최근 연일 미세먼지 주의보와 오존주의보 등이 발생 괴면서 면역력 저하를 겪는 사람들이 많아 지면서 대상포진에 대한 관심이 쏟아지고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김종대)이 2008년부터 2012년까지 '대상포진(B02)'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 전체 진료인원은 2008년 41만 7,273명에서 2012년 57만 3,362명으로 최근 5년간 연평균 8.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과 여성의 연평균 증가율은 각각 7.1%, 9.1%로 여성의 증가율이 남성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2012년 기준 진료인원 역시 남성 22만 6,323명, 여성 34만7,039명으로 여성이 남성에 비해 1.5배 많았다.

인구수를 고려해 분석한 결과 2012년 기준 '대상포진' 진료인원은 건강보험 적용인구 10만명당 1,155명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는 70대(2,601명) > 60대(2,463명) > 80대 이상(2,249명) 순(順)으로 고령층의 진료인원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50대에서 남여 모두 급증하는 양상을 보였다. (40대 1,074명 → 50대 1,925명)

성별로 살펴보면 남성은 10만명당 906명, 여성은 10만명당 1,406명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1.6배 많았다.

20대 미만과 80대 이상 연령대에서는 남여가 비슷한 수치를 나타냈지만, 그 외 연령대에서는 여성이 남성보다 많았다.

대상포진은 수두 바이러스가 원인이고 성인의 대부분이 수두 바이러스를 보유하고 있으므로 이론상으로는 전 국민이 대상포진을 앓을 수 있으나 연구 결과는 약 1/3에서 대상포진이 나타난다.

얼마 전까지는 특별한 예방법이 없어서 과로를 피하고 스트레스를 줄이는 등 일반적인 예방법만 있었는데 최근에는 예방 백신이 나와 관심을 받고 있다.

예방 백신은 50대 이상 대상포진을 앓지 않은 사람이 대상인데 약 50-60%의 예방 효과가 있고 가장 큰 문제인 포진 후 신경통도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아직까진 수량이 충분하지 않아 일상적으로 사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대상포진은 주로 항바이러스제로 치료하는데 중요한 것은 일찍 치료할수록 치료 효과가 좋다는 것이다. 피부 병변 발생 후 72 시간 이내에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상포진은 과거에 수두에 걸렸거나 수두 예방 주사를 맞은 사람의 신경절에 잠복해 있던 수두 바이러스가 숙주의 면역력이 떨어지면(과로 등 체력저하) 다시 활성화되어 신경을 따라 피부 병변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바이러스를 다시 활성화 시키는 요인으로는 고령, 외상, 종양이나 혈액암 등이 있다.

대상포진은 보통 수두와는 달리 계절에 상관없이 1년 내내 산발적으로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전염은 일반적으로는 잘 되지 않지만 드물게 수두를 앓지 않았거나 예방접종을 하지 않은 사람에게 전염되어 발생할 수 있다.

대상포진의 진단은 주로 특징적인 임상 증상으로 하며, Tzanck 검사나 PCR 같은 검사를 할 수는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시행하지 않는다.

대상포진의 가장 대표적인 증상은 통증과 한쪽으로만 띠 모양으로 나타나는 물집이고 통증은 나이가 많을수록 더 심한 경향을 보이고 노령 환지의 경우 약 절반 정도에서 마약성 진통제가 필요할 정도로 통증이 심하다.

대상포진은 제대로 치료하지 않거나 치료 시기를 놓칠 경우에는 침범 부위에 따라서 다양한 후유증이 나타날 수 있다.

눈 주위를 침범하는 경우에는 시력에 문제가 생겨서 심할 경우에는 실명을 할 수 있고 얼굴 부위를 침범하는 경우에는 안면신경 마비가, 뇌 신경을 침범하는 경우에는 뇌수막염이, 방광 부위를 침범하면 신경성 방광이 나타날 수 있다.

 

저작권자 © 뉴스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